유통관리사2급 -용어사전_가격선도자

카테고리 없음 2010. 8. 11. 10:58 Posted by 평생교육 No.1 에듀윌

유통관리사2급 -용어사전_가격선도자

 

*******
******
********************************

 





가격선도자

 

가격선도자(價格先導者, Price Leader)
시장에서 점유율이 높거나 지배력이 높은 경쟁자를 상대할 때는 가격으로 경쟁하기보다는
오랫동안 소비자들의 취향이나 요구를 잘반영한 선도기업의 가격을 따르는 것이 유리한데,
이때 앞에서 가격을 주도하는 기업을 말한다.

 

출처: 에듀윌


[유통관리사][유통관리사2급]





유통관리사2급 -용어사전_가격선도전략

 


가격선도전략

 

가격선도전략(價格先導戰略, price leadership strategy)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에게 가능한 한 낮은 가격으로 제품을 생산하여 유통시키는 전략을 말
한다.

 

출처: 에듀윌


[유통관리사][유통관리사2급]유통관리사2급 -용어사전_가격선도전략

 


가격선도전략

 

가격선도전략(價格先導戰略, price leadership strategy)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에게 가능한 한 낮은 가격으로 제품을 생산하여 유통시키는 전략을 말
한다.

 

출처: 에듀윌


[유통관리사][유통관리사2급]




유통관리사2급 핵심요약-유통정보(11-15)

카테고리 없음 2010. 8. 11. 02:50 Posted by 평생교육 No.1 에듀윌

유통관리사2급 핵심요약-유통정보(11-15)

[유통정보]

 

11.마킹의 종류
ㅇsource marking
ㅇin-store marking


12.POS 시스템
ㅇ시스템 구성:POS 터미널, 스캐너, Store Controller
ㅇ효과
-계산원의 관리 및 생산성 향상
-효율적인 인력관리:labor scheduling program(LSP)
-점포 사무작업의 단순화
-가격표 부착작업의 절감
-품절방지 및 상품의 신속한 회전:단품 관리 가능, 자동발주
-고객관리


13.POS 데이터의 활용 단계
ㅇ제1단계:기본 POS 데이터 활용단계(매출 속보, SKU/item별 매출 조회 등)
ㅇ제2단계:상품기획 및 매장효율 제고단계(판촉활동, 진열관리)
ㅇ제3단계:재고관리, 자동발주
ㅇ제4단계:고객정보 활용한 판촉 등 마케팅 활동
ㅇ제5단계:경영정보시스템으로 활용


14.ABC 분석
ㅇ20:80의 법칙:Pareto
ㅇ매출/이익의 관점
ㅇ상품판단 기준표:decision table


15.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ㅇ정의
ㅇ도입 효과
ㅇ구성요소:UN/EDIFACT, 서비스제공업자(VAN 사업자), 이용자, 사용자 시스템

 

출처: 에듀윌


[유통관리사][유통관리사2급]


유통관리사2급 핵심요약-유통물류일반관리(16-20)

카테고리 없음 2010. 8. 10. 22:50 Posted by 평생교육 No.1 에듀윌

유통관리사2급 핵심요약-유통물류일반관리(16-20)

[유통물류 일반관리]

 

16.우리나라 물류의 발전과정
ㅇ 물류의 전근대기:1970년 이전
ㅇ 물류의 맹아기:1970년대
ㅇ 물류의 개화기:1980년대
ㅇ 물류의 도약기:1990년 이후 유통시장 개방(1996)


17.물류 조직의 형태
ㅇ직능형 조직ㅇ라인과 스탭 조직
ㅇ사업부형 조직ㅇ그리드형 조직


18.물류시스템 구성요소
ㅇ고객서비스, 주문관리/처리, 수요예측과 기획, 재고관리, 유통정보, 하역, 포장,
부품 및 서비스 지원, 공장 및 물류거점 입지 선정, 조달, 역물류, 운송관리,
창고 및 보관관리


19.기업회계와 물류비
ㅇ재무회계: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등 재무제표상의 결산공고
ㅇ관리회계:기업의 내부 회계제도*정확한 물류비 파악


20.물류비 분류 체계
ㅇ발생형태별:자가물류비, 위탁물류비, 타사지불물류비
ㅇ영역별;조달물류비, 생산(사내)물류비, 판매물류비, 회수물류비
ㅇ기능별:운송비, 하역비, 보관비, 포장비, 유통가공비/물류정보비
ㅇ관리목적별:부서, 업체, 운송수단, 물류거점

 

 


출처: 에듀윌


[유통관리사][유통관리사2급]


유통관리사2급 유통관리사2급용어 계약제조

카테고리 없음 2010. 8. 6. 14:36 Posted by 평생교육 No.1 에듀윌

유통관리사2급 유통관리사2급용어 계약제조

계약제조와 OEM 수출

 

해외생산에서의 가장 단순한 형태가 계약제조인데, 그뜻은 적절한 제조능력을 가진 현지 외국기업에서 본사의 요구에

합당한 제품을 만들도록 제품 생산계약을 맺고, 생산된 제품에 대한 마케팅책임을 본사 조직 자체가 맡는 경우를 말한다.

이는 해당 시장 사정에 신속히 적응하기 위함인데, 일반적으로 본사의 생산여력이 너무 작거나, 본사국서 판매하려는 목적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물론 국제 마케팅 행위와는 연관성이 없는 것이다. 계약 제조 활동의 경우에서 볼 수 있는

단점으로는 제조 과정에의 통계력이 약해서 잠재적 이윤의 손실이 있을 수가 있다. 이와는 반대의 경우로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주문자 상표에 의한 생산) 주문 형태에 따라서 이에 응하는 것도 해외시장

진출방식이라는 면에서 이 범주에 넣을 수 있다. 그러나 OEM 방식으로 수출할 경우 비록 제품은 우리 업체가 생산했지만

그 제품에는 그 제품을 주문한 외국 회사의 상표가 붙여져 해외시장에서는 마치 그 주문국 회사의 상품처럼 팔리게 된다.

이 방식은 하청생산과 다름없이 수출가격을 제대로 받아내지 못하는 흠이 있다.

 

출처 : 에듀윌


[유통관리사][유통관리사2급]


유통관리사2급 유통관리사2급요점정리-유통정보(1-5)

카테고리 없음 2010. 8. 6. 02:50 Posted by 평생교육 No.1 에듀윌

유통관리사2급 유통관리사2급요점정리-유통정보(1-5)

[유통정보]
 

1.자료,정보,지식 간의 관계


ㅇ자료:1차 자료, 2차 자료


2.정보의특성


ㅇ정확성, 완전성, 경제성, 신뢰성, 관련성(인과관계), 단순성, 적시성, 입증가능성


3.정보화 사회의 특성

  
ㅇ사회적 측면:다양화 및 분권화

  
ㅇ경제적 측면:소품종 다량생산 방식에서 다품종 소량생산, mass customization

  
ㅇ산업적 측면:지적 기술 및 정보를 통한 가치창출

  
ㅇ기술적 측면:정보 접근성의 용이

  
ㅇ국제적 측면:global화 및 개방화

  
ㅇ소비자 측면:소비패턴의 다각화 및 개성화


4.유통혁명 시대의 특성

  
ㅇ공급체인관리(SCM)

  
ㅇ경쟁우위 요소:정보, 시간

  
ㅇ기술우위 요소:정보, network

  
ㅇ고객.시장:개별 고객, one to one marketing, customization

  
ㅇ시장의 관점:상품에서 고객으로(상품이익에서 고객의 이익으로, market share에서

                 customer share로)

  
ㅇ조직체계:유연하고 개방적인 팀조직, network 조직

  
ㅇ이익원천:수익성에서 가치창출


5.의사결정의 종류


ㅇ조직계층:전략적 의사결정,관리적 의사결정,일상적 의사결정

  
ㅇ업무형태:비정형적 의사결정, 정형적 의사결정

 

출처: 에듀윌


[유통관리사][유통관리사2급]


유통관리사2급 -물류의개념

카테고리 없음 2010. 8. 5. 23:05 Posted by 평생교육 No.1 에듀윌

유통관리사2급 -물류의개념

 

*********************************************



물류의개념

 

가. 미국마케팅 협회
 물류유통이란 생산단계에서부터 소비 또는 이용단계에서 이르기까지의 재화 이동   및 취급을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물류는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 이르는 유통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물류는 유형의 재화 뿐 만 아니라 무형의 서비스도 포함된다. 물류는 포장, 수송,   보관, 하역 등의 제반활동을 그 내용으로 한다. 물류는 전술화동 종합적으로 계획   하고 통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나. 미국 로지스틱스 관리협의회
 원자재의 조달에서부터 생산과정을 거쳐 완제품이 최종 소비지점에 이르기까지의   원자재의 중간제품 및 완제품의 효율적인 물자흐름을 계획하고, 이행하고, 관리하   기 위한 하나 또는 두 가지의 이상의 활동의 통합이다. 여기에 포함된 모든 활동   을 고객서비스, 수요예측, 물류과정에서의 정보통신, 재고관리, 하역, 수주처리 부   품과 서비스의 지원, 공장과 창고의 입   지선정 원자재의 조달, 포장, 폐기물 처   리, 수배송, 창고와 보관 반품처리, 회수처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유통관리사][유통관리사자격증]





유통관리사2급 -물류의기능

 


물류의기능

 

수요충족기능 - 고객에 대한 상품 공급활동, 수요에 대한 충족활동이다. 생산된                    상품이  소비자에게 도달시키는 과정, 필요한 장소, 때에..
  수요창조기능 - 물류서비스로 타사와 차별화(마케팅기능)
  수요조정 통합기능 - 수요와 공급의 조절

 

[유통관리사][유통관리사자격증]유통관리사2급 -물류의기능

 


물류의기능

 

수요충족기능 - 고객에 대한 상품 공급활동, 수요에 대한 충족활동이다. 생산된                    상품이  소비자에게 도달시키는 과정, 필요한 장소, 때에..
  수요창조기능 - 물류서비스로 타사와 차별화(마케팅기능)
  수요조정 통합기능 - 수요와 공급의 조절

 

[유통관리사][유통관리사자격증]




유통관리사2급 유통관리사 물류관리 부문 물류란

유통관리사 2010. 8. 4. 22:50 Posted by 평생교육 No.1 에듀윌

유통관리사2급 유통관리사 물류관리 부문  물류란

[유통관리사2급]유통관리사 물류관리 부문 - 물류란


< 물류의 중요성 >


1. 일반적인 물류의 중요성

 
가. 물자수송, 보관, 하역, 포장, 재고관리 및 물류정보처리 등 물류관련 경제 활동 비중이

     GNP나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용이 증대되고 있다.

나. 물류는 고객만족을 위한 가치 창조, 마케팅의 중요 원칙으로서 유연생산체계에 걸맞는

     차세대 전략요소 또는 제3의 이익원으로서의 잠재력이 풍부한 부문이다.

다. 소매업의 입장에서는 수송경로, 창고관리, 화물취급, 상품흐름의 통제와 같은 물류 정

     보상 흐름과 관련된 활동에 직면 해 있고, 치열한 경쟁에서 생존을 위한 독특한 물류

     전략 개발이 긴요하다.

라. 국가경제에서도 물류는 기업의 생산성, 에너지 효율 개선에 영향을 미치며, 물가안정,

     고용증대등 거시경제효과와 밀접한 관계에 있다.
 

2. 기업 차원에서의 물류의 중요성

 
가. 기업의 생산비 절감은 한계에 있다.

나. 물류비는 꾸준한 증가 추세에 있다.

다. 고객 서비스의 향상과 개선을 위해서는 기업물류의 혁신이 불가피하다.

라. 기업이윤의 원천은 물류의 근대화에 의존한다

마. 미래의 기업경쟁의 승패는 물류혁신에 달려있다.

 

@ 물류는 재화나 상품의 배송, 잡화, 혹은 거래를 위해 필요한 조직적인 물리적, 정보적 활동이다.

@ 물류관리는 물자의 수송, 보관, 하역, 재고관리, 정보처리등의 통제를 물류관리라 한다.




유통관리사2급 유통관리사2급요점정리-유통정보(16-20)

유통관리사 2010. 8. 4. 17:36 Posted by 평생교육 No.1 에듀윌

유통관리사2급 유통관리사2급요점정리-유통정보(16-20)

[유통정보]
 


15.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ㅇ정의

   ㅇ도입 효과

   ㅇ구성요소:UN/EDIFACT, 서비스제공업자(VAN 사업자), 이용자, 사용자 시스템

16.CALS의 변천

   ㅇ1단계:Computer Aided Logistics Service, 병참업무 지원,1980년대 중반

   ㅇ2단계:Computer Aided Acquisition & Logistics Service, 조달기능 추가, 1988년

   ㅇ3단계:Continuous Acquisition and Lifecycle Support, 민간기업 도입, 1991

   ㅇ4단계:Commerce At Light Speed, EC로 발전

17.EDI/CALS/EC의 관계

   ㅇ상거래를 전자적으로 처리:CALS(기술적 측면), EC(경영적 측면)

   ㅇEDI:CALS/EC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 정보기술

18.Internet/Intranet/Extranet

 

 19.시스템

    ㅇ시스템의 정의

    ㅇ시스템의 구성

       -환경(Environment)

       -경계(Boundary):input과 output의 경계

       -투입물(Input)

       -산출물(Output)

       -시스템 내부의 구성요소(Component)

       -접속(Interface):시스템 간의 경계 영역

 20.정보 시스템

    ㅇ정의:

    ㅇ정보시스템의 특성:

       -인간과 컴퓨터간 시스템, 통합시스템

       -정보시스템의 목표가 조직 전체의 목표와 일치

       -의사결정 지원

    ㅇ정보시스템의 구성

       -Hardware, Software, Database, Network, 인적자원, 절차(Procedure)

 

 

 

출처: 에듀윌


[유통관리사][유통관리사2급]


유통관리사2급 -용어사전_공동점포

유통관리사 2010. 7. 26. 08:21 Posted by 평생교육 No.1 에듀윌

유통관리사2급 -용어사전_공동점포

 공동점포(共同店鋪)
공동점포는 판매업자가 모여 공동으로 건설한 점포를 말하는데 소매단계에서는 점포의 근
대화,협업화를 괴하고 최근의 소비자가 요구하는 One Stop Shopping을 가능하게 하기 위
한 것으로 쇼핑센타,백화점 등이 그 예이다. 또, 도매단계에서의 공동점포는 점포의 근대화,
협업화를 더하여 보관,배송등의 강화를 목표로 유통도매센타가 건설되기도한다

 

출처: 에듀윌


[유통관리사][유통관리사2급]





유통관리사2급 -용어사전_공정거래법

 


공정거래법

 

공정거래법 (公정去來法)
공정가래법은 정식으로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다. 이는 시장구조에 있어서
독과점화를 억제하고 경쟁제한적이거나 불공정한 거래행위를 규제하여 공정하고 자유로
운 경쟁질서를 확립하는 데 목적을 두고 제정한 법률이다. 따라서 독점 규제 및 공정거래제
도는 경쟁질서확립과 시장기능 활성화를 통하여 기업체질을 개선하믕로써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고 사업자의 시장지배적 지위의 남용과 부당한 거래 행위 등으로 부터 소비자를 보호
하여 국민경제의 균형발전을 도모하려는 것이다.

 

출처: 에듀윌


[유통관리사][유통관리사2급]유통관리사2급 -용어사전_공정거래법

 


공정거래법

 

공정거래법 (公정去來法)
공정가래법은 정식으로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다. 이는 시장구조에 있어서
독과점화를 억제하고 경쟁제한적이거나 불공정한 거래행위를 규제하여 공정하고 자유로
운 경쟁질서를 확립하는 데 목적을 두고 제정한 법률이다. 따라서 독점 규제 및 공정거래제
도는 경쟁질서확립과 시장기능 활성화를 통하여 기업체질을 개선하믕로써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고 사업자의 시장지배적 지위의 남용과 부당한 거래 행위 등으로 부터 소비자를 보호
하여 국민경제의 균형발전을 도모하려는 것이다.

 

출처: 에듀윌


[유통관리사][유통관리사2급]




유통관리사2급 -용어사전_고객지향

유통관리사 2010. 7. 26. 07:33 Posted by 평생교육 No.1 에듀윌

유통관리사2급 -용어사전_고객지향

 

고객지향(顧客指向, Customer Orientation)

 

실질적인 고객이나 어떤 시장에 있어 그들이 충족(充足)을 느끼지못하고 있는 어떤 욕구(欲
求)를 찾아내어 그를 반드시 충족시켜주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 사고이다. 따라서 이를 근본
으로 하는 사업경영에 있어서는 무엇보다도 고객의 가시적(可視的) 또는 깊숙한 비가시적
(非可視的) 욕구를 분명히 파악하는 일이 중요하며, 그에 적합한 상품 및 서비스를 유효 적
절히 제공하는 한편 당해상품이나 서비스 등에 대한잠재적(潛在的) 욕구에 대해서도 보다
설득력있게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곧, 보다 다양한 상품계획(商品計劃)과 판매촉진
활동으로서 경영 자체가 마케팅 활동의 중심이 된다.
 
 

출처: 에듀윌


[유통관리사/유통관리사2급]








유통관리사2급 -용어사전_고객층

 


고객층(顧客層, Clientele)

 

상점의 판매대상인 고객은 여러 특성요소에 의해 분류되어질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연
령, 지위, 직업, 경제력, 환경, 학력, 성별 등에따라 구분된다. 고객은 그 가게의성격이나 입
지조건, 경합상태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고정고객(固定顧客, Fixed Customer)
고정고객이란 개인의 인적사항이 모두 파악되어 있으면서 자점에서의 쇼핑경력까지도 파
악된 고객을 말한다. 상점에서의 고객인지도는 이름과 라이프 스타일, 생활을 상상할 수 있
는 수준 등의 고객에 관한 질적정보와 양적정보의 지표가 있다. 하지만 실제 고정고객을 측
정하는 양적지표, 예를 들어 내점빈도 점유율 금액 점유율등은 소매점의 취급상품이나 상권
의 설정으로 바뀌어진다. 따라서, 고정고객으로 부르는 정해진 기준은 없고, 질적, 양적 기
준 모두 입지나 상권을 검토하면서 독자적으로 결정해야 한다. 
 
 

출처: 에듀윌


[유통관리사/유통관리사2급]


유통관리사2급 -용어사전_고객층

 


고객층(顧客層, Clientele)

 

상점의 판매대상인 고객은 여러 특성요소에 의해 분류되어질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연
령, 지위, 직업, 경제력, 환경, 학력, 성별 등에따라 구분된다. 고객은 그 가게의성격이나 입
지조건, 경합상태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고정고객(固定顧客, Fixed Customer)
고정고객이란 개인의 인적사항이 모두 파악되어 있으면서 자점에서의 쇼핑경력까지도 파
악된 고객을 말한다. 상점에서의 고객인지도는 이름과 라이프 스타일, 생활을 상상할 수 있
는 수준 등의 고객에 관한 질적정보와 양적정보의 지표가 있다. 하지만 실제 고정고객을 측
정하는 양적지표, 예를 들어 내점빈도 점유율 금액 점유율등은 소매점의 취급상품이나 상권
의 설정으로 바뀌어진다. 따라서, 고정고객으로 부르는 정해진 기준은 없고, 질적, 양적 기
준 모두 입지나 상권을 검토하면서 독자적으로 결정해야 한다. 
 
 

출처: 에듀윌


[유통관리사/유통관리사2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