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교통사고감정사 교통사고재현론 확인문제11-15
교통사고재현론 확인문제 (11-15)
11. 다음중 역과손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인체와 바퀴가 접촉된 부분에는 흔히 바퀴흔이 발생한다.
②. 차량의 무게를 받아 인체장기가 심각한 손상을 입는다.
③. 바퀴의 회전력에 의해 피부 및 피하 조직이 하방의 근막과 박리된다.
④. 충격손상과 비교하면 인체 손상 정도가 약하게 나타난다.
=> 역과손상은 제 1차 손상보다 인체 손상정도가 크다(④)
12. 자동차의 손상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운전대에 의하여 흉부 및 복부 손상이 발생한다.
②. 계기판에 의해 무릎에서 좌상, 표피박탈 같은 손상이 발생한다.
③. 안전띠 착용 여부에 관계없이 손상의 정도는 비슷하다.
④. 전면유리에 충격하여 두피열창, 우개골골절을 초래한다.
=> 안전띠의 착용은 사고 발생 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므로 착용 여부에 따라 손상정도의 차이가 크다(③)
13. 다음 중 골절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골절은 뼈만 부러지고 근육 손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②. 폐쇄성 골절은 멍과 부종이 흔히 있다.
③. 골절은 외피의 상처를 동반 할 수 있다.
④. 골절이란 뼈가 부러지거나 깨진 경우를 말한다.
=> 골절이란 뼈가 부러지거나 깨진 경우를 말한다.(①)
14. 사고 자동차의 계기판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rpm은 1분당 엔진출력축의 회전 수이다.
②. 직접충격으로 파손된 속도지침이 가르키는 속도를 충돌속도로 해석 가능하다.
③. 항상 속도계가 가리키는 속도를 충돌속도로 해석 가능하다.
④. 차량 충돌 후 탑승자운동에 의한 2차 충돌에 의한 파손이 발생하기도한다.
=> rpm(Revolution Per Minute)은 회전하면서 일을 하는 장치가 1분 동안 몇 번의 회전을 하는지 나타내는 단위이다. (③-속도계가 가리키는 속도가 항상 충돌속도로 해석 가능한 것은 아니다.)
15. 타이어 흔적의 발생원리가 잘못 설명된 것은?
①. 노면과의 마찰에 의해 발생한다.
②. 충돌지점에서 차량의 급격한 운동에 의해 발생한다.
③. 차량에 외력이 작용하여 타이어 회전이 제어되어 발생하기도 한다.
④. 제동 중에는 반드시 발생한다.
=> 타이어의 흔적은 제동 중에 발생하지만 반드시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④)
출처: 에듀윌
[도로교통사고감정사/교통사고감정사/도로교통사고감정사시험]
'교통사고감정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도로교통사고감정사 도로의 구조적 특성 이해 (0) | 2010.06.12 |
|---|---|
| 교통사고감정사 교통사고재현론 스키드마크 (skid mark) (0) | 2010.06.12 |
| 도로교통사고감정사 차량운동학 운동량 보존의 법칙 (0) | 2010.06.12 |
| 도로교통사고감정사 준비하는 요령 (0) | 2010.06.12 |
| 도로교통사고감정사 -도로교통사고감정사자격증시험 (0) | 2010.05.2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