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공무원학원 -한국사개념정리및확인학습(3)
학습하면서 모아온 자료를 함께 공유해 드리고자 올립니다.
매일매일 꾸준히 보면서 가벼운 마음으로 정리하면 합격에 큰 도움이 되실 겁니다.
많은 분들이 공부하시는데 도움되는 자료가 되길바라면서...
한국사 개념정리 및 확인학습(3)
3. 순수비(巡狩碑)
巡狩란 ‘왕이 돌아다니며 군사를 조련하여 사냥한다.’는 의미가 된다. 고대 중국에서 천자(天子)가 천하를 돌아다니면서 천지산천에 제사하고, 지방의 정치 ? 민정을 시찰하던 데서 유래하였으며, 진시황(秦始皇) 때부터 순수(巡狩) 후 이를 기념하고자 비(碑)를 남기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왕이 순수한 곳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석으로는 신라 진흥왕의 창녕 순수비(창녕군), 북한산 순수비(서울), 황초령 순수비(함남 함주군), 마운령 순수비(함남 이원군) 등이 있으며 이들은 진흥왕이 확장한 영토, 곧 당시 신라의 확장된 국경을 표시한다는 점에서 순경비(巡境碑) 또는 척경비(拓境碑)의 성격을 나타낸다.
출처: 에듀윌
[9급공무원][9급공무원학원][9급공무원시험]
9급공무원학원 -한국사개념정리및확인학습(4)
한국사 개념정리 및 확인학습(4)
4. 재인(才人)
고려 ? 조선 시대 천한 직업에 종사하던 무리의 하나였다. 유목 민족인 달단의 후예로 고려 말 정치적 혼란기에 들어온 것으로 여겨진다. 화척(禾尺 : 무자리)과 함께 유기(柳器) ? 피물(皮物)의 제조와 도살(屠殺) ? 수렵(狩獵) ? 육류(肉類)의 판매 등이었으며, 조선 중기 이후에는 창극 등의 기예(技藝)에 종사하였다. 법제상으로는 양인(良人)으로 간주되었으나, 직업이 천하여 천민으로 인식되어 집단생활과 내혼(內婚)을 하며 유랑 생활(流浪生活)을 하였다. 세종(世宗) 대 이들을 백정(白丁)이라 하였으며, 16세기 이후 점차 양인으로 동화되어 농경 생활로 정착하였다.
출처: 에듀윌
[9급공무원][9급공무원학원][9급공무원시험]9급공무원학원 -한국사개념정리및확인학습(4)
한국사 개념정리 및 확인학습(4)
4. 재인(才人)
고려 ? 조선 시대 천한 직업에 종사하던 무리의 하나였다. 유목 민족인 달단의 후예로 고려 말 정치적 혼란기에 들어온 것으로 여겨진다. 화척(禾尺 : 무자리)과 함께 유기(柳器) ? 피물(皮物)의 제조와 도살(屠殺) ? 수렵(狩獵) ? 육류(肉類)의 판매 등이었으며, 조선 중기 이후에는 창극 등의 기예(技藝)에 종사하였다. 법제상으로는 양인(良人)으로 간주되었으나, 직업이 천하여 천민으로 인식되어 집단생활과 내혼(內婚)을 하며 유랑 생활(流浪生活)을 하였다. 세종(世宗) 대 이들을 백정(白丁)이라 하였으며, 16세기 이후 점차 양인으로 동화되어 농경 생활로 정착하였다.
출처: 에듀윌
[9급공무원][9급공무원학원][9급공무원시험]
'9급공무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9급공무원학원 -행정법총론_관습법 (0) | 2010.06.09 |
---|---|
9급공무원학원 -한국사-발해의고구려계승자료 (0) | 2010.06.09 |
9급공무원학원 -한국사개념정리및확인학습(1) (0) | 2010.06.09 |
9급공무원학원 -한국사_한글창제의의의 (0) | 2010.06.09 |
9급공무원학원 -한국사_양천제와반상제 (0) | 2010.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