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공무원학원 -한국사개념정리및확인학습(1)
학습하면서 모아온 자료를 함께 공유해 드리고자 올립니다.
매일매일 꾸준히 보면서 가벼운 마음으로 정리하면 합격에 큰 도움이 되실 겁니다.
많은 분들이 공부하시는데 도움되는 자료가 되길바라면서...
한국사 개념정리 및 확인학습(1)
1. 3 ? 1 운동 직후 국내 독립 운동 군사 조직에 관하여
1) 천마산대(天摩山隊)
1920년 3월경 최시흥(崔時興) ? 박응백(朴應伯) 등 대한제국 당시의 군인들이 중심이 되어 평안북도의 천마산을 근거지로 조직 활동한 무장 독립 운동 단체로 병력은 약 500여 명이었다. 군자금 모금, 식민 통치 기관의 파괴, 일본 군경 및 친일 분자 처단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들의 활동으로 선천 ? 용천 ? 의주 등지의 면장(面長)들이 집단 사표를 제출함으로써 이 지역 행정에 혼란을 초래하자, 일제는 수색대를 증강 배치하여 수차례 포위공격을 감행하기도 하였다. 이후 천마산대는 근거지를 삭주 ? 의주 ? 초산 ? 강계 등지로 이동하여 무장 활동을 전개하던 중 만주로 건너가 상해 임시 정부의 별동 부대 역할을 하였다.
2) 구월산대(九月山隊)
1920년 이명서(李明瑞) ? 이근영(李根永) ? 박기수(朴基洙) ? 주의환(朱義煥) 등이 중심이 되어 황해도 송화군 구월산 일대를 중심으로 조직 활동하던 무장 독립 운동 단체.
독립 운동을 방해하는 자, 일제의 앞잡이 노릇을 하는 밀정(密偵)을 응징하고 색출하는 등 유격전(遊擊戰)을 전개하였다. 그 후 신천경찰서(信川警察署)에 밀고 되어 대장 이하 대원 등이 체포되었다.
3) 보합단(普合團)
1920년 3월경 김동식(金東植) ? 김도원(金道源) 등이 평안북도 의주에서 조직한 무장 독립 운동 단체. 단장 김중량(金仲亮)을 중심으로 의주군 비현면에 근거지를 두었다가 이후 의주군 동암산, 선천군 산면 내산동 등으로 옮겨 투쟁하였다. 의주 ? 용천 ? 철산 ? 선천 등지를 중심으로 부호들로부터 군자금을 모집하여 임정(臨政)에 전달하거나 식민 통치 기관을 습격하고, 친일파를 처단 하는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10월 일제의 습격으로 중국 콴뎬현(寬甸縣)으로 이동하여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에 합류 → 1924년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에 참여하면서 해체되었다.
출처: 에듀윌
[9급공무원][9급공무원학원][9급공무원시험]
9급공무원학원 -한국사개념정리및확인학습(2)
한국사 개념정리 및 확인학습(2)
2. 정체(政體)의 구분
1) 입헌주의(立憲主義)
입헌주의란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하고 국가 권력의 분립을 규정한 헌법에 의거하여 통치할 것을 요구하는 정치 원리를 의미한다. 근대 시민 혁명 이후 등장한 정치 이념으로 개인의 자유와 권리의 보장, 권력 분립을 통하여 국가 권력(國家權力)을 통제하려는 헌법이다.
1789년 프랑스의「인간과 시민의 권리 선언(제16조)」가 이에 해당한다.
2) 입헌군주제(立憲君主制) ? 입헌공화제(立憲共和制)
입헌군주주의는 수상 정치(首相政治)를 의미한다. 비스마르크 헌법(1871), 일본 제국주의 헌법(1889)은 군주 주권을 유지하면서 권력 분립의 원리를 채택하지 않았으며, 천부인권을 인정하지도 않았다. 세습제의 군주는 국가를 상징하고, 실질적 정치는 수상(총리)이 담당하는 정치 형태로 갑신정변(甲申政變)의 급진적 개화당은 이를 도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유형을 명목적 입헌주의 헌법(名目的立憲主義憲法)이라고 한다. 명목적 입헌주의 헌법은 갑신정변과 같이 위로부터의 근대화에 따라 성립한다는 특징을 갖추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급진파 서재필이 중심이 된 독립협회(獨立協會)에서도 입헌군주제를 시행하고자 하였다.
한편, 입헌공화제(立憲共和制)는 대통령제로 신민회(新民會 :1907)와 광복단(光復團 :1913) 에 의하여 처음 제시되었다. 3 ? 1 운동 이후 복벽(復? : 군주주의)론은 완전 사라지고 공화제(共和制)론이 정착되어 상해 임정(上海臨政)이 최초로 공식 채택하였다.
출처: 에듀윌
[9급공무원][9급공무원학원][9급공무원시험]9급공무원학원 -한국사개념정리및확인학습(2)
한국사 개념정리 및 확인학습(2)
2. 정체(政體)의 구분
1) 입헌주의(立憲主義)
입헌주의란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하고 국가 권력의 분립을 규정한 헌법에 의거하여 통치할 것을 요구하는 정치 원리를 의미한다. 근대 시민 혁명 이후 등장한 정치 이념으로 개인의 자유와 권리의 보장, 권력 분립을 통하여 국가 권력(國家權力)을 통제하려는 헌법이다.
1789년 프랑스의「인간과 시민의 권리 선언(제16조)」가 이에 해당한다.
2) 입헌군주제(立憲君主制) ? 입헌공화제(立憲共和制)
입헌군주주의는 수상 정치(首相政治)를 의미한다. 비스마르크 헌법(1871), 일본 제국주의 헌법(1889)은 군주 주권을 유지하면서 권력 분립의 원리를 채택하지 않았으며, 천부인권을 인정하지도 않았다. 세습제의 군주는 국가를 상징하고, 실질적 정치는 수상(총리)이 담당하는 정치 형태로 갑신정변(甲申政變)의 급진적 개화당은 이를 도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유형을 명목적 입헌주의 헌법(名目的立憲主義憲法)이라고 한다. 명목적 입헌주의 헌법은 갑신정변과 같이 위로부터의 근대화에 따라 성립한다는 특징을 갖추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급진파 서재필이 중심이 된 독립협회(獨立協會)에서도 입헌군주제를 시행하고자 하였다.
한편, 입헌공화제(立憲共和制)는 대통령제로 신민회(新民會 :1907)와 광복단(光復團 :1913) 에 의하여 처음 제시되었다. 3 ? 1 운동 이후 복벽(復? : 군주주의)론은 완전 사라지고 공화제(共和制)론이 정착되어 상해 임정(上海臨政)이 최초로 공식 채택하였다.
출처: 에듀윌
[9급공무원][9급공무원학원][9급공무원시험]
'9급공무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9급공무원학원 -한국사-발해의고구려계승자료 (0) | 2010.06.09 |
---|---|
9급공무원학원 -한국사개념정리및확인학습(3) (0) | 2010.06.09 |
9급공무원학원 -한국사_한글창제의의의 (0) | 2010.06.09 |
9급공무원학원 -한국사_양천제와반상제 (0) | 2010.06.09 |
9급공무원학원 -한국사_삼국간의대외관계 (0) | 2010.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