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자격증 2차모의고사[11-15]
11.상담기법 중 내담자가 전달하는 이야기의 표면적 의미를 상담자가 다른 말로 바꾸어서 말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가. 탐색적 질문 나. 요약과 재진술 다. 명료화 라. 적극적 경청
12. 작업 동기를 설명하는 강화이론의 주장이 아닌 것은?
가. 사람이 일을 하는 것은 보상이 뒤따르기 때문이다
나. 모든 사람에게 똑같이 보상을 할 때 작업 동기가 커진다.
다. 보상이 지연되면 작업 동기가 줄어든다.
라. 간헐적인 보상을 주면 작업 동기가 계속 유지된다.
13. 정신역동적 직업상담에서 보딘(Bordin)이 제시한 상담에 사용할 수 있는 상담자의 반응범주가 아닌 것은?
가. 비교 나 .명료화 다. 소망-방어체계에 대한 해석 라. 감정에 대한 준지시적 반응범주
14. 진로시간전망 검사 중 코틀(Cott|e)이 제시한 원형검사 에서 원의 크기가 나타내는 것은?
가. 과거, 현재, 미래
나. 방향성, 변별성, 통합성
다. 시간차원에 대한 상대적 친밀감
라. 시간차원의 연결 구조
15. 검사 해석시 주의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가. 해석에 대한 내담자의 반응을 고려해야 한다.
나. 검사결과에 대해 여러 정보에 근거한 주관적인 견해를 설명해 준다.
다. 검사결과에 대해 내담자가 이해하기 쉬운 언어를 사용한다.
라. 검사결과에 대한 내담자의 방어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직업상담사][직업상담사2급][직업상담사자격증]
'직업상담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사2급 과목 노동관계법규 출제경향 분석 ★. (0) | 2010.11.24 |
---|---|
직업상담사자격증 Katz의이론 (2) | 2010.08.05 |
직업상담사 제1회 직업상담사2급(B형)기출복원문제(61-65) (0) | 2010.08.05 |
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필기기출문제(11-15) (0) | 2010.08.04 |
직업상담사 제1회 직업상담사2급(B형)기출복원문제(16-20) (0) | 2010.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