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2급 직업상담학 필기기출문제(6-10)
6. 직업 상담에서 내담자로 하여금 상담의 목표를 설정하게 하는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
가. 상담전략의 선택과 상담결과의 평가를 위해
나. 내담자의 가치관 인식과 성취동기 향상을 위해
다. 내담자가 원하는 것을 밝히고 개입하기 위해
라. 상담목표의 실현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해
7. 겔랏(Gelatt)이 제시한 의사결정 과정 단계로 맞는 것은?
가. 목표수립 →정보수집 →실현가능성 예측 →가능한 대안의 탐색 →가치평가 →의사결정 →의사결정 평가 →재투입
나. 목표수립 →정보수집 →가능한 대안의 탐색 →가치평가 →실현가능성 예측 →
의사결정 →의사결정 평가 →재투입
다. 목표수립 →가능한 대안의 탐색 →정보수집 →실현가능성 예측 →가치평가 →
의사결정 →의사결정 평가 →재투입
라. 목표수립 →정보수집 →가능한 대안의 탐색 →실현가능성 예측 →가치평가 →
의사결정 →의사결정 평가 →재투입
8. 직업 상담과정의 구조화단계에서 상담자가 할 일로 가장 알맞은 것은 ?
가. 내담자에게 상담자의 자질, 역할, 책임에 대해서 미리 알려줄 필요가 없다
나. 내담자에게 검사나 과제를 잘 이행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밝힌다.
다. 상담 중에 얻은 내담자에 대한 비밀을 지키는 것은 당연하므로 사전에 이것을 밝혀두는 것은 오히려 내담자를 불안하게 만든다.
라. 상담과정은 예측할 수 없으므로 상담 장소, 시간, 상담의 지속 등에 대해서 미리 합의해서는 안 된다.
9. 다음 중 직업심리검사의 용도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은?
가. 직접 관찰하기 어려운 내적 특성의 진단
나. 한 개인의 전반적인 능력을 평가하는 절대적 기준
다. 현재 또는 향후 행동이나 성과의 예측
라. 조직에서의 선발?배치?승진 등과 같은 인사결정의 자료
10. 헥크만(Hackman)과 올드함(Oldham)의 직무확충모형에 의하면 직무의 5가지 핵심적 특징이 중요한 심리적 의미를 갖게 한다고 한다. 다음에서 그 연결이 잘못된 것은?
가. 자율성→ 작업 성과에 대한 책임감
나. 직무에서의 귀환(피드백)→ 작업 활동결과에 대한 지식
다. 과제의 정체성→ 작업에 대한 의의
라. 성장 가능성→ 높은 작업동기
출처: 에듀윌
[직업상담사][직업상담사2급][직업상담사자격증]
'직업상담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사2급 -제1회_직업상담사2급(B형)기출복원문제(16-20) (0) | 2010.07.05 |
---|---|
직업상담사2급 -제1회_직업상담사2급(B형)기출복원문제(1-5) (0) | 2010.07.05 |
직업상담사2급 2회필기B형기출(6-10) (0) | 2010.06.12 |
직업상담사자격증 2회필기B형기출(6-10) (0) | 2010.06.12 |
직업상담사 제1회 직업상담사2급(B형)기출복원문제(91-95) (0) | 2010.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