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공무원학원 -경찰공무원시험_경찰학개론_대륙법계경찰개념
학습하면서 모아온 자료를 함께 공유해 드리고자 올립니다.
매일매일 꾸준히 보면서 가벼운 마음으로 정리하면 합격에 큰 도움이 되실 겁니다.
많은 분들이 공부하시는데 도움되는 자료가 되길바라면서...
학습개요
■ 대륙법계 경찰개념에 대해 알아봅시다.
학습내용
◇ 대륙법계 경찰개념
1. 전통적 경찰개념은 행정법학자들에 의해 고수되어 온 것으로 이 개념은 경찰을 규범적 강제작용측면에 한정하여 본 견해(경찰관=범죄진압자)
2. 경찰이란 당위성을 전제로 권리, 자유, 행동을 제한하는 소극적 기능이라 보고 경찰이란 사회공공의 안녕,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반통치권에 의거하여 일반국민에게 명령, 강제함으로써 그 자연적 자유를 제한하는 작용이라는 것이다.
3. 권력적, 명령적, 강제적 요소가 있는 국가기능을 경찰이라고 본다.
4. 경찰과 국민과의 관계는 권력 실행적 관계에 놓이게 되며, 그 역할, 지위, 규범은 수직적 관계에서 설정된다.
··
출처: 에듀윌
[경찰공무원][경찰공무원시험][경찰공무원학원]
경찰공무원학원 -경찰공무원시험_경찰학개론_형식적의미의경찰과실질적의미의경찰
학습개요
■ 형식적 의미의 경찰과 실질적 의미의 경찰에 대해 알아봅시다.
학습내용
◇ 형식적 의미의 경찰과 실질적 의미의 경찰
1. 형식적 의미의 경찰
(1) 실정법을 기준 : 역사적, 제도적 개념
(2) 실무상 확립된 개념으로 국가별 차이가 큼
(3) 경찰이 아닌 다른 기관은 형식적 의미의 경찰에 해당하는 활동을 할 수 없다
(4) 비권력적 활동도 형식적 의미의 경찰에 해당하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5) 경찰관직무집행법 및 경찰법에 규정
2. 실질적 의미의 경찰
(1) 성질을 기준 : 학문상 개념
(2) 사법경찰은 사회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가 직접적인 목적이 아니라 범인을 체포
하여 증거를 확보하고 공소제기 및 유죄판결을 직접 목적으로 하므로 실질적 의미의
경찰이 아니다
(3) 정보경찰과 보안경찰은 직접적으로 사회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를 위한 활동이
아니라, 국가 안전보장이 직접 목적이므로 실질적 의미의 경찰이 아니다
··
출처: 에듀윌
[경찰공무원][경찰공무원시험][경찰공무원학원]경찰공무원학원 -경찰공무원시험_경찰학개론_형식적의미의경찰과실질적의미의경찰
학습개요
■ 형식적 의미의 경찰과 실질적 의미의 경찰에 대해 알아봅시다.
학습내용
◇ 형식적 의미의 경찰과 실질적 의미의 경찰
1. 형식적 의미의 경찰
(1) 실정법을 기준 : 역사적, 제도적 개념
(2) 실무상 확립된 개념으로 국가별 차이가 큼
(3) 경찰이 아닌 다른 기관은 형식적 의미의 경찰에 해당하는 활동을 할 수 없다
(4) 비권력적 활동도 형식적 의미의 경찰에 해당하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5) 경찰관직무집행법 및 경찰법에 규정
2. 실질적 의미의 경찰
(1) 성질을 기준 : 학문상 개념
(2) 사법경찰은 사회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가 직접적인 목적이 아니라 범인을 체포
하여 증거를 확보하고 공소제기 및 유죄판결을 직접 목적으로 하므로 실질적 의미의
경찰이 아니다
(3) 정보경찰과 보안경찰은 직접적으로 사회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를 위한 활동이
아니라, 국가 안전보장이 직접 목적이므로 실질적 의미의 경찰이 아니다
··
출처: 에듀윌
[경찰공무원][경찰공무원시험][경찰공무원학원]
'경찰공무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찰공무원학원 -경찰공무원시험_영어_agree_with_someone (0) | 2010.06.10 |
---|---|
경찰공무원학원 -경찰공무원시험_수사_내사 (0) | 2010.06.10 |
경찰공무원학원 -경찰공무원시험_경찰영어_4형식문형의3형식전환 (0) | 2010.06.10 |
경찰공무원학원 -경찰공무원_소개 (0) | 2010.06.10 |
경찰공무원시험 -1일1제학습_put_across-이해시키다 (0) | 2010.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