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공무원 지방직국어기출문제[6-10]

9급공무원 2010. 6. 9. 15:38 Posted by 평생교육 No.1 에듀윌

9급공무원 지방직국어기출문제[6-10]

 


6. 위의 글을 읽고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내다보기             - 들여다보기
② 분리의 원칙          - 포괄의 원칙
③ 동질성 조장          - 이질성 조장
④ 시민 중심의 설계     - 인권 중심의 설계

【정답】 ③
【해설】 내용 파악하기
주어진 글은 ‘시민권’과 ‘인권’에 대한 것이다.
글을 차근차근 읽어 나가면서 ①∼④의 내용을 확인해 보면 된다.
그런데 ③의 내용은 마지막 문장에 비춰볼 때 그 내용이 바뀌었다. 즉, 동질성 회복이 인권과 관련되는 내용이고, 이질성 조장이 시민권과 관련되는 내용인 것이다.


7. 다음 글에 나타난 인간의 행동 양식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우리는 무엇이 옳은가를 경정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이 옳다고 생각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도 한다. 이것을 ‘사회적 증거의 법칙’이라고 한다. 이 법칙에 따르면 주어진 상황에서 어떤 행동이 옳고 그른가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같은 행동을 하느냐에 의해 결정된다고 한다.
다른 사람들이 하는 대로 행동하는 경향은 여러 모로 매우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들이 하는 대로 행동하게 되면, 즉 사회적 증거에 따라 행동하면, 실수할 확률이 그만큼 줄어든다. 왜냐하면 다수의 행동이 올바르다고 인정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적 증거의 특성은 장점인 동시에 약점이 될 수도 있다. 이런 태도는 우리가 주어진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지름길로 사용될 수 있지만, 맹목적으로 이를 따르게 되면 그 지름길에 숨어서 기다리고 있는 불로소득자들에 의해 이용당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① 영희는 고속도로에서 주변의 차들과 같은 소도로 달리다가 속도위반으로 범칙금을 냈다.
② 철수는 검색 우선순위에 따라 인터넷 뉴스를 본다.
③ 순이는 발품을 팔아 값이 가장 싼 곳에서 물건을 산다.
④ 명수는 여행을 가서 밥을 먹을 때 구석진 곳이라도 주차장에 차가 가장 많은 식당에서 밥을 먹는다.

【정답】 ③
【해설】 내용의 파악과 적용
두 개의 단락이 제시되었으므로 끝단락부터 본다.
두 번째 단락의 시작부분을 읽어보면 바로 문제에서 제시한 ‘인간의 행동 양식’이 나온다. 즉 그것은 ‘다른 사람이 하는 대로 행동하는 경향’이다.
①②④의 경우도 이러한 경향이라 할 수 있다.


8. 다음 글을 내용상 두 부분으로 나눌 때 어느 지점부터 나누는 것이 가장 적절한가?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농경 생활을 해 왔다. 이런 이유로 우리나라에서 소는 경작을 위한 중요한 필수품이지 식용동물로 생각할 수가 없었으며, 단백질 섭취 수단으로 동네에 돌아다니는 개가 선택되었다. ㉠프랑스 등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도 우리처럼 농경 생활을 했음에 틀림없지만 그들은 오랜 기간 수렵을 했기 때문에 개가 우리의 소처럼 중요한 동물이 되었고 당연히 수렵한 결과인 소 등을 통해 단백질을 섭취했다. ㉡일반적으로 개고기를 먹는 데 혐오감을 나타내는 민족들은 서유럽의 나라이다. 그들은 쇠고기와 돼지고기를 즐겨먹는다. ㉢그러나 식생활 문화를 달리하는 힌두교도들은 쇠고기를 먹는 서유럽 사람들에게 혐오감을 느낄 것이다. ㉣또 이슬람교도나 유대교도들도 서유럽에서 돼지고기를 먹는 식생활에 대해 거부감을 느낄 것이다.


① ㉠ ② ㉡
③ ㉢ ④ ㉣

【정답】 ②
【해설】 내용상 단락나누기
내용상 단락을 나눌 때는 내용이 달라지는 부분을 찾아야 한다.
주어진 글은 ㉡을 기준으로 그 앞부분에서는 ‘우리나라와 유럽에서 단백질 섭취의 대상으로 여기는 개와 소’가 각각 소개되고 있고, 그 뒷부분에서는 ‘서유럽과 흰두교도들, 또 이슬람교도나 유대교도들이 혐오의 대상으로 여기는 식용동물’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9. 다음 글의 전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말로 표현되지 않으면 우리의 생각은 꼴 없이 불문명한 덩어리에 지나지 않는다. 기호의 도움 없이는 우리가 두 생각을 똑똑히 그리고 한결같이 구별하지 못하리란 것은 철학자나 언어학자나 다 같이 인정하는 바이다. 언어가 나타나기 전에는 미리 형성된 관념이 존재할 수 없으며 어떤 생각도 분명해질 수 없다.


① 인간은 언어 사용 이전에도 개념을 구분할 수 있다.
② 언어학자들은 언어를 통해 사고를 분석한다.
③ 말과 생각은 일정한 관련이 있다.
④ 생각은 말로 표현되어야 한다.

【정답】 ③
【해설】 내용의 전제 파악
주어진 글의 내용은 첫 문장에서 파악할 수 있는데, ‘생각은 말로 표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주의할 점은 ‘주장’을 묻는 것이 아니라, ‘전제’를 묻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④는 주장과 내용이 같으므로 답이 될 수 없다. 따라서 답은 ③으로 정해야 한다.


10. 다음 기사에 나타난 통계를 통해 추론할 수 없는 것은?


일본에서 나이가 들어서도 부모 곁을 떠나지 않고 붙어사는 ‘캥거루족’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본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가 2004년 전국 1만 711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해 21일 발표한 가구 동태 조사를 보면, 가구당 인구수는 평균 2.8명으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2인 가구는 28.7%로 5년 전 조사 때보다 조금 증가한 반면, 4인 가구는 18.1%로 조금 줄었다.
부모와 함께 사는 자녀의 비율은 크게 증가했다. 30~34살 남성의 45.4%가 부모와 동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연령층 여성의 부모 동거 비율은 33.1% 였다. 5년 전에 비해 남성은 6,4%, 여성은 10.2% 증가한 수치다. 25~29살 남성의 부모 동거 비율은 64%, 여성은 56.1%로 조사됐다. 부모를 모시고 사는 기혼자들도 있지만, 상당수는 독신으로 부모로부터 주거와 가사 지원을 받는 캥거루족으로 추정된다.


① 25~34살의 남성 중 대략 반 정도가 부모와 동거한다.
② 현대사회에서 남녀를 막론하고 만혼 현상이 널리 퍼져 있다.
③ 30~34살의 경우 부모 동거비율은 5년 전에도 여성이 남성보다 높지 않았다.
④ ‘캥거루족’이 늘어난 것은 젊은이들이 직장을 구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답】 ④
【해설】 내용 파악하기
④ ‘캥거루족’ 증가 원인은 본문내용에 나오지 않는다.
① 두 번째 단락에서 알 수 있다. 즉, 부모와 함께 사는 자녀의 비율 중, 30∼34살 남성이 45.4%, 25∼29살 남성이 64%라는 점에서 알 수 있다.
② 글 전체를 통해 알 수 있다. 특히 첫 단락 첫 문장 ‘나이가 들어도 부모 곁을 떠나지 않고 붙어 사는’과 둘째 단락의 구체적인 통계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다.
③ 현재의 수치를 기준으로 5년 전 상황을 계산하면 남성이 39%, 여성이 23% 정도였음을 알 수 있다.

 

출처: 에듀윌

 

[9급공무원][9급공무원학원][9급공무원시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