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관리사 수험생을 위해 주택관리사학원 학습정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주택관리사시험에서 자주 언급되는 내용입니다. 주택관리사자격증 시험 준비하시는데 도움되셨으면 좋겠네요.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




* 주택관리사 민법기본서 민법총칙 기출 및 예상문제 7번.

주택관리사 민법기본서 민법총칙 기출 및 예상문제 7번

 


07 근대 민법의 기본원리와 우리 민법의 기본원리에 관한 다음 기술 중 틀린 것은?


①근대 민법은 개인의 자유와 평등을 기초로 개인주의적 법원리를 최고의 지도원리로 삼았다.


②근대 민법의 3대 원칙은 사유재산권 절대의 원칙, 계약자유의 원칙, 무과실책임의 원칙이다.


③소유권을 제한하는 법률이 날로 늘어나고 있다.


④현재는 계약자유를 제한하는 강행법규가 상당히 많이 존재한다.


⑤현대 민법은 공공복리의 원칙을 최고원리로 하여 그 행동원리로 신의성실, 사회질서, 거래안전의 여러 원칙이 있고 다시 그 밑에 3대 원칙이 수정되어 존재한다고 보는 견해가 있다.


해설


근대 민법의 3대 원칙은 사유재산권 존중의 원칙, 계약자유의 원칙, 과실책임의 원칙이다. 무과실책임의 원칙은 현대 민법의 기본원리로 민법 일정영역에 차용되고 있다.

 

 

 

 




* 주택관리사 민법기본서 민법총칙 기출 및 예상문제 8번.

주택관리사 민법기본서 민법총칙 기출 및 예상문제 8번

 


08 호의관계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호의관계는 법률관계와는 구별되는 생활관계이므로 원칙적으로 법률문제가 생길 여지가 없다.


②호의관계에 대해서는 과실상계의 법리를 적용하지 않는 것이 판례의 입장이다.


③호의관계에 대해서는 무상계약에서의 책임경감의 법리를 유추적용할 수도 있다.


④ 호의관계는 원칙적으로 법적 구속력을 받으려는 의사가 없는 경우이다.


⑤ 호의관계에 수반하여 손해가 발생한 경우에 그 손해를 누가 부담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해설


판례는 호의관계의 일종인 이른바 호의동승에 관하여 동승자에게 단순히 동승하였다는 사실만으로 과실이 있다고 볼 수는 없으므로 과실상계의 법리를 유추적용할 수 없다고 한다. 다만, 제반사정에 비추어 가해자 즉, 동승케 한 운전자에게 일반교통사고와 동일한 책임을 지우는 것이 신의칙이나 형평의 원칙에 비추어 매우 불합리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과실상계의 법리를 도입하여 배상액을 경감할 수 있는 것으로 판시하고 있다(대판 95다24302).

 

 

 

 

 


* 주택관리사 민법기본서 민법총칙 기출 및 예상문제 9번.

주택관리사 민법기본서 민법총칙 기출 및 예상문제 9번

 


09 권리와 의무는 서로 대응하는 것이 보통이나 권리만 있고 그에 대응하는 의무가 없는 경우도 있다. 다음 권리 중 그에 대응하는 의무가 없는 것은? 


①생명권


② 무체재산권


③ 취소권


④ 물권


⑤ 채권


해설


동의권, 철회권, 추인권, 면제권, 상계권, 취소권, 해제권과 같은 형성권에 있어서는 권리만 있고 그에 대응하는 의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앞으로도 계속되는 학습정보 잘 활용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