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정고시 -대입검정고시시험_국어_전통적국토관

검정고시 2010. 5. 19. 23:43 Posted by 평생교육 No.1 에듀윌

검정고시 -대입검정고시시험_국어_전통적국토관




검정고시시험 합격을 위해 검정고시학원의 학습 point 자료를 모아봤습니다. 수험생 여러분의 합격을 기원하며, 다양한 정보를 올려 봅니다~


1. 전통적 국토관

 


(1) 풍수 지리 사상
① 의미 : 산의 모양과 기복, 바람과 물의 흐름으로 땅의 성격을 파악하여 좋은 터전을 선정
하는 세계관
② 특징 : 거주 공간으로 배산 임수 지역 선호,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함, 기복(祈福)적 성격
으로 왜곡
(2) 산경표와 산경도 : 산자 분수령의 원리에 따라 우리 나라 모든 산을 15개(1대간, 1정간,
13정맥)의 산줄기로 분류
(3) 조선 전기의 지리서와 고지도: 국가 통치의 기본 자료
① 세종실록지리지: 각 지방의 인구, 거리, 면적, 기후, 민속, 산업 등을 기록

② 신증동국여지승람: 각 도의 전도를 싣고 연혁, 풍속, 산천, 토산물 등을 백과 사전식의 항
목별로 서술
③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중화 사상이 반영, 현존하는 동양 최고(最古)의 세계 지도
④ 천하도: 추상적인 세계 지도


2. 조선 후기의 근대적 국토관
(1) 실학의 영향으로 국토를 실용적 측면에서 객관적으로 바라봄.
(2) 택리지: 지리·생리·인심·산수를 기준으로 가거지 선정, 화산 지형, 해안 사구 등을 객관적
인 관찰과 사고를 통해 기술(지리적 의의)


(3) 대동여지도: 축척 사용, 도로에 10리 마다 점을 찍어 거리 계산 가능, 현재의 해안선과 거
의 일치, 기호 사용(지도표 사용), 산줄기는 회화식으로 표현(등고선이 없다.)

 

 

출처: 에듀윌


[검정고시][검정고시학원][검정고시시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