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공무원학원 -수사_수사의개념
*********************************************
학습개요
■ 수사의 개념에 대해 알아봅시다.
학습내용
◇ 수사(실무상 수사활동)
1. 누가(주체) : 수사기관
2. 왜(목적)
① 제1차적 목적
ⓐ 다수설 : 공소제기 여부결정 및 유지
ⓑ 소수설 : 범인 및
② 궁극적 목적 : 유죄판결(=국가형벌권의 유효, 적절한 행사)
3. 사건(대상사건) : 형사사건
4. 일(행위) : 증거수집, 범인검거
··
출처: 에듀윌
[경찰공무원][경찰공무원시험][경찰공무원학원]
경찰공무원학원 -수사_수사의조건
학습개요
■ 수사의 조건에 대해 알아봅시다.
학습내용
◇ 수사의 조건
1. 의의 : 수사권의 발동과 수사실행의 조건으로서 수사절차의 개시와 진행, 유지에
필요한 조건을 의미함, 탄핵주의 소송구조에서 강조됨
2. 필요성
(1) 수사의 목적을 달성함에 필요한 경우에 한해서 허용됨
(2) 수사의 필요성이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행하는 수사처분은 위법한 수사처
분이 됨
(3) 수사 필요성의 요건의 범죄혐의 존재와 공소제기의 가능성을 말함
(4) 소송조건 : 소송조건이 결여되면 공소제기 및 공소유지(수사1차적 목적), 범죄인
에 대한 유죄판결(수사의 궁극적 목적)을 할 수 없으므로 수사의 필요성도 부인됨
출처: 에듀윌
[경찰공무원][경찰공무원학원][경찰공무원시험]경찰공무원학원 -수사_수사의조건
학습개요
■ 수사의 조건에 대해 알아봅시다.
학습내용
◇ 수사의 조건
1. 의의 : 수사권의 발동과 수사실행의 조건으로서 수사절차의 개시와 진행, 유지에
필요한 조건을 의미함, 탄핵주의 소송구조에서 강조됨
2. 필요성
(1) 수사의 목적을 달성함에 필요한 경우에 한해서 허용됨
(2) 수사의 필요성이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행하는 수사처분은 위법한 수사처
분이 됨
(3) 수사 필요성의 요건의 범죄혐의 존재와 공소제기의 가능성을 말함
(4) 소송조건 : 소송조건이 결여되면 공소제기 및 공소유지(수사1차적 목적), 범죄인
에 대한 유죄판결(수사의 궁극적 목적)을 할 수 없으므로 수사의 필요성도 부인됨
출처: 에듀윌
[경찰공무원][경찰공무원학원][경찰공무원시험]